본문 바로가기

요남자의 시선/지식인의 서재

국내 종자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국내 종자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세계 종자시장은 10년 동안 2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이 세계 종자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종자시장의 확대는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식량소비량 증가 및 유전자변형 작물시장 확대

등에 기인한다. 종자산업은 단순히 농산물을 생산하는 투입재로서 뿐만 아니라

에너지, 의약품 등 영역 확대로 바이오기술이 접목된 신성장 산업으로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종자산업의 중요도가 커짐에 따라 글로벌 종자기업들은 M&A를 통해 시장 점

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 글로벌 10개 종자기업이 세계시장의 75%를 점유

하는 등 과점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글로벌 종자기업의 대형화와 달리 국내 종자산업은 농업 경지면적 축소 등 생

산량 감소로 인해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다국적 기업 등이 인수·

합병한 국내 중견 종자회사들에 대한 지속적인 구조조정과 함께 중소, 개인 육종

가가 늘어나면서 영세한 소규모 업체들이 증가하였다. 국내 종자무역은 수입이

수출에 비해 3.6배 많아 적자를 보이고 있다. 다만 채소종자가 다른 종자에 비해

높은 국내 점유율을 차지하는 등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정부도 종자산업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 Golden Seed Project를 통해 미래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국내 종자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협소한 국내시장만을 대상으로 품종을 개발

하기보다는 시장 확대를 위해 해외시장을 목표로 품종개발에 힘써야 한다. 이와

함께 정부주도의 식량종자 사업에 민간기업의 참여를 확대함으로써 민간 주도 종

자산업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종자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연

구개발이 가능한 기업의 규모화 및 기업간 제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할 수

있는 종자산업의 생태계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


종자산업은 씨앗 등 종자를 개발°§생산하여 재배 농가에 보급하는 전 과정을 말

한다. 종자는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서 생산물의 유통기

간 및 가공, 저장에도 영향을 준다1). 산업화에 따른 경지면적 축소 및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 등 곡물생산량의 불확실성으로 식량자원 확보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종자산업의 중요성도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종자산업은 의약품 등의 응용산업 범위 확대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

상하고 있다. 오랜 시간의 투자가 소요되는 종자개발 특성으로 인해 자본과 기술

력을 가진 글로벌 대기업들이 세계 종자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종자

산업은 외환위기 이후 글로벌 대기업의 인수°§합병과 농업생산량 감소 등으로 성

장이 정체되고 있다. 정부는 상대적으로 낙후된 종자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발

전시키기 위해 Golden Seed Project를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종자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종자산업의

성장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세계 종자시장

1. 세계 종자시장 규모 확대

(1) 세계시장은 10년 동안 2배 가까이 성장, 한국시장 비중은 미미

세계 농산물 종자시장 규모는 2002년 247억달러에서 2012년 449억달러2)로 1.8

배 증가하였다. 종자시장 규모는 2012년 DRAM 반도체시장의 300억달러보다 크

며, 향후에도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종자시장에서 벼, 밀, 콩, 옥수

수 등 곡물종자 비중이 79%로 가장 높고, 채소 및 화훼종자 17%, 사료 및 목초

종자가 4%를 차지하고 있다3).

세계 종자시장은 미국이 26.7%(120억달러), 중국 22.1%(99억달러) 등 양국이 약

50%를 점유하고 있으며, 프랑스 6.2%(28억달러), 브라질 5.8%(26억달러), 인도

4.5%(20억달러) 등이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의 점유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0.9%(4억달러)에 불과한 실정이다. 미국과 중국이 2000년대 초부터 1, 2위를 차지

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 3위였던 일본이 2000년대 중반 시장 규모가 감소하여 6위

국가로 전환되었다. 특히 미국의 종자시장 규모는 2000년 대비 2012년 2.1배 성장

하였으며, 중국은 3.3배 신장하여, 세계 종자시장의 핵심국가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림 1> 세계 농산물 종자시장 규모


 <그림 2> 국가별 종자시장 비중





(2) 종자 국제 교역 증가 및 응용 범위 확대

국제 종자 교역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70년대 10억달러였던 종자 교

역액은 1990년 30억달러로 늘어났으며, 2011년 100억달러로 성장하였다. 2000년대

중반 이후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식량 소비량 증가로 우량종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국가간 교역량도 증가했다.

국제 종자 교역 작물은 식량(밀, 벼, 보리, 옥수수 등) 종자가 64.1%, 채소(고추,

무, 배추 등) 종자가 33.0%, 화훼(장미, 국화 등) 종자가 2.9%를 차지하고 있다5). 주

요 종자 수출국은 프랑스, 네덜란드, 미국, 독일 등 육종기술이 발달하여 종자의 산

업화기반이 마련된 국가들이다.


세계 유전자변형 작물시장도 큰 폭으로 성장했다. 1996년 시장 규모는 0.9억달러

에서 2011년 132억달러로 140배 이상 급증하였으며, 파종면적 또한 1996년 1.7백만

ha에서 2011년 1.6억ha로 94배 늘어났다6). 도시화와 산업화로 경작지가 감소하고

노동력 부족 심화 및 농약, 비료 등의 투입 생산비가 증가하자 유전자변형 작물이

그 대안으로 선택되었고, 2008년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서면서 대체 에

너지로서 바이오에탄올7)에 관심이 커지면서 유전자변형 옥수수 재배가 확대되었다.

종자산업은 식물종자로부터 의약품을 생산하는 등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신종플

루 치료제인 타미플루는 중국 자생식물인 스타아니스(팔각나무) 종자에서 성분을

추출해 신약으로 만들어졌으며, 아스피린은 버드나무의 salicin으로부터 개발되었다.



2. 식량수요 증가로 세계 종자시장 지속 성장 전망

세계 종자시장은 인구증가에 의한 식량수요증가 및 기후변화에 따른 농산물 생

산 불안전성, 농산물을 활용한 바이오 연료 개발 등으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세계 인구는 2010년 70억명에서 2050년 90억명으로 늘 것으로 보여, 이에

따른 식량수요도 연간 22억톤에서 30억톤으로 확대될 전망이다8).

이에 따라 세계 식량종자시장도 2010년 291억달러에서 2025년 585억달러로 연

평균 4.7%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세계 채소종자시장도 2011년 55억달러에서 2020

년 96억달러로 연평균 7.8%의 성장이 예상된다9).



 <그림 6> 세계 식량 종자시장 전망


 <그림 7> 세계 채소종자시장 전망



3. 세계 종자시장은 글로벌 기업의 과점시장으로 재편

세계 종자산업은 글로벌 거대기업의 대형화로 과점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1996

년 세계 10대 기업10) 점유율은 10%에 불과했으나, 2004년 49%, 2007년 67%, 2011

년 75%로 글로벌 기업의 과점이 심화되고 있다11).

세계 점유율 1위 종자업체인 몬산토12)는 1990년대 중반 화학산업을 매각하고

종자회사와 생명공학회사를 인수해 최대 종자회사로 발돋움했다. 몬산토는 2005년

곡물 유통회사인 카길사의 종자판매부문과 세계 1위 채소종자회사인 세미니스를

인수했다. 몬산토는 전 세계 100여개의 종자연구실을 운영하면서 매년 연구개발비

로 10억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몬산토는 세계 종자시장의 26%, 유전자 변형 종자

의 80%를 점유하고 있다.

세계 2위인 듀퐁도 1990년대에 섬유화학회사를 매각하고 종자회사를 인수하여

생명공학회사로 변모하고 있다. 1999년 듀퐁은 파이오니어 하이-브랜드를 인수한

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종자시장의 18%를 점유하고 있다. 듀퐁은 미

국내 30여개의 생명공학 연구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제품 개발을 위해 매년

농업분야에 10억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김 기 홍(산업기술리서치센터, khkim@kdb.co.kr)

국내 종자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