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남자의 IT

인공지능 플랫폼으로서의 아마존 알렉사

인공지능 플랫폼으로서의 아마존 알렉사


I. 아마존 알렉사의 비즈니스 모델

아마도 최신 IT 뉴스에 관심을 가진 독자라면, 올해초 열린 CES 2017에서 전시회에 참 여도 하지 않는 아마존이 사실상의 주인공이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CES 2017에서는 아마존의 음성인식 서비스이자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알렉사 (Alexa)를 탑재한 LG전자의 냉장고, 포드의 자동차, 월풀의 세탁기 등 여러 업체들의 다 양한 기기가 선보였다.





201411월에 출시된 알렉사는 아마존 브랜드의 기기들에 먼저 탑재됐는데, 알렉사가 탑재된 아마존 에코(Echo) 스피커가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면서 업계가 주목하기 시작했다. 에코가 출시된 이후 201611월까지 약 2년동안 기기 판매대수는 510만개 였는데1, 작년 홀리데이 시즌에만 300만대 가량이 더 판매돼 20171월 기준 총 820 만대 이상의 에코가 보급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CIRP가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에코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는 2015320%에서 20161282%로 지난 2년 동안 인지도가 드라마틱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 출시 초기 아마존은 초대장을 가진 유료 회원(프라임 멤버)을 대상으로 출시 가격 의 절반인 99달러에 에코를 판매했다. 에코는 등장 초기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왜냐 하면 아마존의 쇼핑 서비스 및 콘텐츠 서비스와 긴밀히 연동되어 있어 소비자 입장에 서 실질적인 활용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또한 알렉사는 외부 개발자들에 의해 그 기능 이 사실상 무한대로 확장될 수 있도록 돼있다. 아마존은 이를 ‘알렉사 스킬스(Alexa Skills)’라고 표현한다(스마트폰 앱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사실은 단지 음성인식 서비스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그것이 또한 사업자의 수익으로 연결될 수 있는가 하는 점 이다. 그런 점에서 아마존은 상당히 유리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원고에서는 아마존 알렉사의 주요 구성요소인 알렉사 스킬스의 핵심 내용 및 동향을 살펴보고, 아마존 알렉사의 향후 전망 및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본다.



II. 알렉사 스킬스의 핵심 및 동향

아마존은 알렉사를 단순한 음성인식 서비스가 아니라, 자사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알렉사 및 연관 서비스들로 구성되는 ‘기반형 인공지능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현재 알렉사는 각종 기능을 연동하는 ASK(Alexa Skills Kit)와 음성대화를 제공하는 AVS(Alexa Voice Service)로 구성된다. 이를 이용해 외부 개발자들이 알렉사를 손쉽고 빠르고 활용할 수 있도록 API, 도구, 문서, 코드 샘플 등을 제공한다.

외부 개발자들은 알렉사 API를 이용해 사용자의 음성 지시에 알렉사가 어떤 동작을 해 야하는 가를 접목시키고, 그에 따른 적절한 기능과 음성대화 능력을 자신의 제품에 통 합할 수 있다. 다양한 기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알렉사와 아마존의 클 라우드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알렉사 스킬스가 작동하는 방식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아마존의 대표적인 서버리 스(Serverless)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Amazon Web Services) 램더(Lambda, 국내에서 는 람다로 표기하기도 한다)를 활용한다는 사실이다. 아마존이 2014년 처음으로 선보인AWS 램더는 서버를 관리할 필요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개발 자가 코드를 업로드하면 코드가 실행된 컴퓨팅 시간만큼만 비용을 지불하고 코드가 실 행되지 않을 때는 비용이 부과되지 않는다.4 비용은 월 1백만건의 요청까지는 무료이고, 이후 요청 1백만건당 0.2 달러를 부과한다.


아마존이 직접 제공하는 알렉사 기본 기능 외에 외부 개발자들이 만든 다양한 알렉사 스킬스는 알렉사 스킬스 스토어에서 각각의 스킬 항목에 대해 사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돼있다. 20172월 기준으로 이미 1만 여개가 넘는 알렉사 스킬스가 제공되고 있다. 알렉사 스킬스는 비즈니스 및 재무, 커뮤니케이션, 자동차, 교육, 음식, 게임, 헬스 및 피트니스, 영화 및 TV, 음악, 뉴스, 유머, 쇼핑, 스마트홈, 소셜, 스포츠, 여행 및 교통, 날씨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알렉사 스킬스를 통해 가정내 조명이나 가전을 제어하고, 우버 차량을 부르 거나, 피자를 주문하고, 최신 뉴스를 들을 수 있다. 특히 최신 BBC 뉴스를 요약해 들을 수 있는 알렉사 스킬스는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스킬 중 하나다. 그 외 알렉사의 확장성을 엿볼 수 있는 몇몇 스킬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The Bartender: 12000개에 달하는 칵테일 레시피를 알려준다. 칵테일 이름으로 물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인애플 주스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칵테일을 알려 달라고 할 수도 있다.

  •   TD Ameritrade: 미국에서 거래되는 주식, ETF(상장지수펀드), 뮤추얼펀드 등의 거래 가격, 거래량, 시장동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  The Magic Door: 판타지 이야기를 들으면서 사용자가 적절한 선택을 하는 일종의 인터랙티브 어드벤처 게임이다. 이야기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수수께끼를 풀고 숨겨 진 아이템을 찾는다. 특별한 아이템을 찾을 경우 상품을 받을 수도 있다.

  •   Capital One: 캐피털원(미국의 은행)의 신용카드, 계좌, 대출 등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난달 내가 스타벅스에서 사용한 지출 내역, 다음달 갚아야할 대 출비용 등의 구체적인 조회가 가능하며, 이를 위해 캐피털원의 계정 및 암호를 등 록해야 한다. 보다 강력한 보안을 위해 개인 키를 생성할 수도 있다.



  •   Inspire Me: 기분이 다운되어 있거나 활력이 필요할 때, 여러 유명 강사들의 영감을 주는 강의를 들을 수 있다.

    현재 알렉사 스킬스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향후에는 보다 전문적인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유료 스킬스 시장도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존은 알렉사 스킬스를 통해 알렉사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확산하는 한편, 알렉사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의 종류 도 늘려가고 있다. 기본적으로 아마존이 직접 만들어 판매하는 에코, 에코닷, 탭 외에 외부업체들이 만든 다양한 기기에 알렉사가 탑재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LG전자는 냉장고 외에도 가정용 허브 로봇에 알렉사를 탑재했으며, 레노보는 스피커 제품에, 유 비텍은 휴머노이드 로봇 링스(Lynx)에 알렉사를 탑재했다




 III. 아마존 알렉사의 전망 및 시사점

투자회사 미즈호(Mizuho)2020년까지 아마존의 에코 및 알렉사 관련 전체 수익이 11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미즈호는 전체 수익 중 기기 관련 매출이 40억 달러, 상거래 관련 매출이 7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20년까지 13100만 개의 에코 기기가 판매될 것이며, 하나의 에코를 통해 평균 25달러의 상거래가 연간 5회 발생한다고 가정한 결과다.


이러한 미즈호의 전망치는 알렉사가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는다는 전제 하에 이뤄진 것 이므로,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하거나 시장에 커다란 변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결과가 기 대보다 미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만일 지난 홀리데이 시즌과 같은 성공이 이어진 다면 미즈호의 전망치를 훌쩍 넘어서는 성공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알렉사의 성공에 대한 전망은 단지 아마존이 관련 사업을 가장 먼저 시작해서 라기 보다는 아마존이 가진 본질적인 경쟁력에 기반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알렉사를 성공시킬 가능성이 높은 아마존 본연의 경쟁력은 크게 나누어, (1) 커머스라는 탄탄한 비즈니스 모델, (2) 탁월한 클라우드 인프라와 기술력, (3) 아마존에 대한 개발자 및 소 비자의 강한 신뢰로 정리해볼 수 있다.

원고의 서두에서 언급했다시피, 아마존은 유무형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올리고 있다. 무엇보다 알렉사는 커머스에 최적화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알렉사의 확산은 곧 바로 커머스 수익을 증대시키는 결과로 나타난다. 단지 알렉사가 탑재된 기기 판매 수익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알렉사를 사용하는 한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건 아마존의 입장에서 커다란 이점이다



알렉사가 AWS 램더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긴밀히 연동되어 있다는 점은 알렉사의 경쟁력을 파악하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요소다. 이를 통해 외부 개발자들은 서버 없이 도 알렉사와 연동해 실행할 코드를 AWS 램더에 올려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가용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이는 외부 개발자들이 알렉사 스킬스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 고 또한 기능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강점으로 작용한다.

아마존은 시장 1위의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개발자들과 실질적으로 관계로 맺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개발자들이 아마존에 우호적이며 탁월한 테크기업으로서 경의를 표 하고 있다. 이는 특히 기반형 플랫폼을 성공시키는데 있어 아주아주 중요한 요소다. 기 반형 플랫폼은 개발환경을 개발자들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를 확대해야 하는 필연적인 운명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플랫폼을 소유한 기업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이 몹시 중요하다. 또한 소비자들도 아마존의 프라임 제도와 특유의 화끈한 고객만족 정책 으로 인해 상당히 우호적인 시각을 갖고 있어 플랫폼 확산에 도움이 되고 있다.

아마존은 시장에서 단지 알렉사로만 경쟁을 하는게 아니다. 그 뒤에는 특유의 탄탄한 커머스 비즈니스 모델과 탁월한 클라우드 및 기술력, 그리고 개발자 및 소비자의 강한 신뢰가 든든한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것이 플랫폼과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확립한 기업의 힘이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알렉사는 음성인식 플랫폼에서 인공지능 플랫폼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수준이지 완전한 인공지능 플랫폼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물론 알렉사 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기반으로 작동하고 있고, 사용자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축적되는 다량의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점점 더 똑똑해 지고 있다.

또한 아마존은 ‘Amazon AI’라는 명칭으로 인공지능 관련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계속 확 대해 나가고 있다.10 Amazon Machine Learning은 시각화 도구와 마법사를 제공함으로 써 개발자들이 복잡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배우지 않고서도 쉽게 머신러닝 모델 생성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Amazon Lex는 최근 주요 IT기업들에서 크게 붐 이 일고 있는 자연어 기반의 챗봇(Chatbot)을 빠르고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해준다. Amazon Lex는 알렉사에 탑재된 것과 동일한 딥 러닝 기술을 사용한다. Amazon Rekognition는 딥 러닝 기반으로 이미지 분석을 해주는 서비스로, 이를 이용하면 정교 한 비주얼 검색 및 이미지 분류 기능을 손쉽게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수 있다. Amazon Polly는 딥 러닝 기반으로 텍스트를 음성으로 합성해 출력하는 서비스다. 이를 이용하여 24개 언어로 사람 목소리를 합성해낼 수 있다(아직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는 다).

알렉사와 더불어 이처럼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인공지능 서비 스를 이용함으로써, 개발자라면 누구든지 손쉽게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 래하고 있다. 아마존의 행보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인공지능은 단품으로서의 기술 경 쟁이 아니라 “플랫폼화를 이루고 이러한 플랫폼에 전 세계 개발자들을 얼마나 끌어 모 을 수 있는가”의 경쟁으로 치닫고 있다.

앞으로 알렉사는 단지 알렉사 스킬스를 제공하는 수준이 아니라, 사용자의 맥락을 파악 해 스스로 판단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자율 인공지능의 형태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알렉사라는 명칭에 구애 받을 필요는 없다. 아마존의 여러 인공지능 서비스들 이 알렉사로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알렉사가 다른 서비스로 통합되어 새로운 명칭의 통합 플랫폼으로 재탄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 명칭이 어찌 되든, 아마존의 인공지 능 관련 행보를 유의 주시해야 할 것이다. (류한석기술문화연구소 류한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