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죽공방 창업 성공의 노하우 1
○ 가죽공방 흥행의 배경
현재 한국사회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피로한 사회입니다. 하위직 부터 고위직에 이르기까지 서민에서 중 상층에 이르기까지 대안 없는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고용 불안의 시대에서 피곤함과 함께 찾아 오는 것이 스트레스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 흐름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답습을 하고 있고 저성장 디플레이션의 경제 국면에서 한치 앞을 내다 볼 수없는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진입의 여파는 조선해운업의 불황을 낳았고 그 결과 지금 경남 지역 경제는 최악입니다. 향후에는 사무직 감원 한파가 우리나라 전체를 뒤 덮을 지도 모릅니다.
피로한 사회, 고용 불안의 시대, 고용없는 저성장 국면에서 과연 우리는 생존경쟁에서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할까? 아마도 이 물음이 지금 글을 적고 있는 나 자신 그리고 우리네 인생들의 간절한 해답을 원하는 건 아닐까요? 불과 5년 전 힐링이라는 이름으로 핸드메이드 제품 제작의 배움 가르치는 곳이 있었다면 현재는 힐링보다는 전투적으로 가르치고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습니다.
가죽공방이라 부르기도 하고 가죽공예라고 부르기도 하고 아뜰리에라고 명하기도 하는 곳이 전국적으로 1000곳이 운집해 있습니다. 가죽공방이라는 이름도 일본에서 건너와 우리나라에 자리 잡기까지 1세대 공방장들의 헌신과 노력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노고가 컸습니다. 현재는 2세대 공방들이 지역마다 자리하고 있습니다.
가죽공방은 창업 아이템으로 아주 좋다고 감히 단언할 수 있습니다.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2016년 12월을 기점으로 한국 내 가죽공방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는 시점입니다. 향후에는 더 많은 수요가 창출 될 것으로 보여 집니다. 하지만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공급하는 곳은 많지 않습니다.
소비자, 사용자, 인간중심의 패러다임 변화, 그 속에서 디자인에 타협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신하여 진정성 있는 스토리를 만들어 가죽공방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제가 가지고 있는 손가락으로 셀수있고 여기에 그 이름을 열거 할 수 있고 추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 또한 주관적인 생각이라 조금은 참도록 하겠습니다. 명실상부 우리나라에서 전체 공방 중 Big3 안에 꼽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규모로 성장해 온 공방들이 분명 존재하고 있습니다. 향후 그 공방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알려 드리겠습니다.
가죽공방을 창업하고 운영하고자 하는 본질의 의도는 돈을 벌기 위함일것 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강생들의 경직되고 사막화된 재능들을 생태계가 잘 조성된, 살아 숨 쉬는 습지를 만들어 척도를 알 수 없는 지평선 너머의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창출하여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인적 자원들이 나에게는 과연 얼마나 있는 가 하는 질문부터 하셔야 할 것입니다.
다양한 수강생들의 의도(Intention)가 이야기에 반영되고 수강생들이 주인공이 되게 하는 몰입(Immersion)과 전체의 구조와 디테일의 표현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시키는 하이퍼텍스트를 앞세워 수강생들과 가죽공예 전반의 거리를 좁혀주는 대화의 장을 통해 수강생들 뿐 아니라 우리나라 가죽 업계에서 뜨거운 반응(Response)을 얻고 싶지 않습니까?
성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앞으로 계속 연재하겠습니다.
'요남자의 시선 > 요남자의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맛집! 본연의 맛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0) | 2017.01.03 |
---|---|
가죽공방 창업 성공 노하우 2 (0) | 2017.01.02 |
일본 K-POP 시장동향 / 빅뱅 (0) | 2017.01.01 |
프랑스 와인 선택하는 팁 (0) | 2016.12.30 |
라라랜드, 나에게 영감을 주는 영화 (0) | 2016.12.26 |